고객센터

customer center

070.8868.6303

한공주

한공주

 

2003년도에 밀양에서 터졌던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 당시에 보았던 TV 뉴스 장면이 여전히 뇌리에 남아있다. 집단으로 경찰서에 잡혀온 남학생들이 모두들 후드 재킷으로 얼굴을 가린 채 구석에 앉아있었고 바로 그 옆의 책상에서 모자이크로 처리된 피해 여학생의 증언이 변조된 목소리로 흘러나오고 있었다. 얼마나 끔찍한 광경이었던지! 이렇게 무방비로 성폭행을 당한 여학생의 그 후 이야기도 상당히 충격적이었다. 가해 남학생들의 부모들이 자기 자식만은 살려내겠다며 여학생을 회유 협박했고 여학생의 부모에게 돈까지 써가면서 사태를 유야무야 만들었으며 결국 피해 여학생만 아무런 방어막 없이 팽개쳐지고 말았다.

전 잘못한 게 없는데 왜 제가 도망쳐야 되는 거죠?” 영화 <한공주>(이수진 감독, 극영화, 한국, 2013, 112)의 마지막 부분에서 공주(천우희)가 항의하며 내뱉은 말이다. 정말 왜 잘못한 것도 없는 공주가 피해 다녀야만 할까? 영화 시작에 전철을 탄 공주가 서울에서 인천으로 빠져나갈 때 한강철도의 주변 풍경이 잔잔하게 지나쳐가는 장면이 나온다. 강물이 그저 무심하게 흘렀던가? 하지만 그때까진 무심하게 흐르는 강물이 공주의 맘에 어떤 풍랑을 일으켰는지 알기에 관객의 상상력은 충분치 않았다. 마지막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왜 공주가 25미터 거리의 수영 연습에 집착했는지, 왜 친구 중 하나가 “25미터를 가봐야 벽이잖아하면서 공주의 집착을 비아냥거렸는지, 왜 친구였던 화옥(김소영)이 비참하게 생을 마감했는지 알 수 있었다. 무심한 강물이 더 이상 무심해보이지 않는 순간이었다. 감독의 복선은 거기에 그치지 않는다.

공주는 주변의 시선에서 완전히 안전치 못했다. 어떻게 해서든 살아남기 위해서 자신의 생명줄을 잡고 있는 어른들에게 기대야만 했다. 그런데 비극적인 대목은 어른들 중 누구 하나도 공주의 생명에 관심이 없었다는 점이다. 아마 공주에게 그런 끔직한 일이 없었다면 어른들은 그녀에게 훨씬 관대한 입장을 보여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일단 자세한 내용을 안 이상, 깊이 관여했다간 자칫 자신도 다칠지 모른다는 공포심에 공주를 밀어내고 말았다. 공주에게 마지막까지 호의적이었던 친구 은희(정인선)와 조여사(이영란)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수진 감독은 적절한 장면 설정과 인물 대비와 시점혼합時點混合을 통해 주제를 쉴 새 없이 부각시켰고 이야기를 늘어짐 없게 이끌어갔다. 신인 감독치곤 상당한 연출력을 과시한 셈이다.

같은 소재를 갖고 만든 영화중에 이창동 감독의 <2010>가 우선 떠올랐고, 조금 멀리는 조나단 카프란 감독의 <피고인1988>이 생각났다. 사건에 대한 접근 방식에는 차이가 있으나 근본을 흐르는 연출 동기는 같다. 바로 시간이 흐르면서 어느 사인엔가 피해 당사자의 목소리는 사라지고, 수시로 변하는 주변 조건만 살아남는다는 것이다.

한공주 자신의 목소리도 주변 조건에 따라 슬금슬금 사라지고 말았다. 후배 부탁으로 잠시 받아주기는 했지만 재단의 눈치도 봐야 한다면서 공주를 학교에게 내보내는 교장선생님과, 네가 꼬리를 쳐서 이런 일이 터진 게 아니냐며 공주를 궁지에 몰아넣은 가해 남학생들 부모와, 갈 곳 없이 도망치듯 거리로 내몰린 공주에게 합의서에 도장을 부탁하는 경찰서장에게 묻혀버린 공주의 목소리. 그렇다면 도대체 어디에서 그녀가 절박하게 내지르는 목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 그리고 우리나라의 수많은 한공주에 덧붙여 동네 어른들에게 집단 성폭행당한 정신지체 여학생의 목소리는 또 어디에서 들을 수 있을까? 다 잊지 않았는가.

<한공주>에서는 아무데서도 소리 낼 수 없고 누구에게도 들리지 않는 공주의 현실을 고발한다. 그 고발의 부르짖음이 어느 정도 들렸는지 로테르담 국제영화제와 도빌 아시아 영화제와 부산 국제영화제에서 <한공주>에게 상을 안겨주었다. 영화가 갖고 있는 긍정적인 힘이 드러난 것이다. 특히, 물에 빠진 공주가 다시금 잠영을 하는 모습은 관객에게 그녀의 존재를 알리기에 충분했다. 한공주의 이야기는 이제부터 관객에게 그 바통이 넘겨지는 것이다.

1860년대 이후 진취적인 예술가들은 누구의 눈이나 귀를 즐겁게 해주는 형식적인 미에서 벗어나려 했고, 그와 더불어 창작이란 기존의 형식을 벗어나 관객과 독자를 당황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후기 인상주의의 등장과 이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해주는, 창작에 대한 보들레르의 정의다. <한공주>는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얼마나 당황스럽고 충격적인지 극적으로 알려준다.

한공주 이야기는 바로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비극적인 사건이다! 그러니 국민들에게 도 영화를 보아야 할 책임이 있다. 그래야 한공주가 작은 숨이라도 좀 쉬어볼 수 있을 것이다.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박태식

등록일2014-05-04

조회수6,386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